북한 이탈 초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분석
1. 링크: https://lrl.kr/ejE4R
2. 초록
북한 이탈 초등학생의 국어 능력을 파악하고자 1, 2차 평가를 실시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국어교육 방향을 도출하였다. 남한 초등학생 53명과 북한 이탈 초등학생 57명이 참여한 1차 평가에서 북한 이탈 초등학생은 내용 영역에 따라 정답률의차이가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남한의 학생에 비해 정답률이 저조하였다. 1차 평가에서 정답률이 낮게 나타난 문항을 2차 평가에서 확인한 결과, 1차 평가에 비해소폭 상승한 문항도 있으나 문항의 내용 특성에 따라 오히려 정답률이 감소되는경향을 보였다. 이는 학업 수행 공백, 남북한 교육과정 및 평가 문항 유형의 이질성,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 과정의 복잡성 등의 이유로 문법 및 어휘 지식, 문학해석 능력 및 비판적·추론적 사고 능력이 부족한 데 기인한 것이다. 또한 모어화자임에도 불구하고 대화 상황의 언어 예절 및 규범에 대한 의사소통의 배경지식과 정서가 부족하였다.
북한 이탈 초등학생의 국어 능력의 양적·질적 성장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국어교육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어휘 능력, 문법적 언어 지식, 비판적·창의적 사고 능력, 화용적 언어 능력, 문학적 소양 함양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학습 전략을통해 학습 능력뿐만 아니라 학습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셋째, 무엇보다 학업 성취 향상을 위한 국어 지식교육이 아닌 국어 사고력 및 언어문화 능력 신장에 목표를 둔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이전글독일 학교에서 상호문화교육의 실행원칙과 실천사례 25.07.07
- 다음글초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제에 대한 질적 연구: ``다문화 하나되어 프로그램``의 사례를 중심으로 25.07.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