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배경학생 연구센터 다문화평화연구소
전체게시판 최신게시물 15건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자료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다문화 이민정책 관련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논문 및 보고서

논문 청소년시설환경

아동의 다문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 - 생태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전란영(부산대학교), 김희화(부산대학교) 입력 2025-07-07 17:58 읽음 6

1. 링크: https://lrl.kr/chMHQ


2. 초록

1. 연구배경 및 목적- 2018년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 의하면 성인의 다문화 수용성이 전반적으로 하락하였고 이주민 규모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증가하였다(김이선 외, 2019). 이러한 점은 빠른 인구학적 변화에 맞추어 다문화도 태도가 함께 성숙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추후 사회 통합을 위해 다문화 태도를 향상하는 방안에 학문적 관심을 기울일 시점이라 판단된다. 아동기가 다문화 태도가 형성되는 기초적 시기로 이 시기에 내면화된 태도가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면(김경근, 황여정, 2012) 아동기 다문화 태도에 관심을 갖고 그 영향 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추후 다문화 태도 향상과 관련해 중요한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아동의 다문화 태도가 가정, 학교, 지역사회, 국가적 환경에 영향을 받음을 고려하면(McKown, 2005) 생태학적 접근은 아동과 청소년의 다문화 태도를 이해하는 적절한 이론적 관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적 접근에 따라 아동의 다문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변인과 미시체계(가정 및 학교), 외체계(지역) 변인을 다각적으로 탐색하고 그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적 변인으로 아동의 참여의식, 배려, 협동 및 경쟁학습 선호를 선정하였고, 미시체계 변인으로 부모의 애정적 양육, 교사의 상호작용 중심 수업, 교사의 생활지도, 학교 내 폭력 정도, 교내 다문화 학생 비율을 선정하였으며, 외체계 변인으로 지역을 선정하였다.
2.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에서 사용한 2차년도 자료의 표본은 242개교의 아동 7,215명과 교사 1,983명이었다. 본 연구에는 다문화 가정 학생 비율 등 학교 단위의 정보가 포함된다. 학교 단위 정보가 누락된 아동 395명을 제거하여 최종 분석 대상은 237개교의 6,820명이었다. 연구대상 중 남자는 3,370명(49.4%), 여자는 3,450명(50.6%)이었다.
본 연구의 사용 자료는 응답 아동이 각 학교에 소속되고 학교는 지역에 소속되는 위계적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및 지역 단위의 정보를 함께 분석하므로 이러한 자료의 속성을 고려하여 다층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강상진, 1998). 이에 연구문제 를 위해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분석을 실시하였다.
3. 연구결과-아동의 다문화 태도에 관한 개인적 변인과 미시체계 및 외체계 변인의 영향을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첫째, 아동의 다문화 태도 수준은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아동의 참여의식, 배려, 협동 및 경쟁학습선호, 부모의 애정적 양육, 교사의 상호작용 중심 수업, 학교 내 폭력 정도는 아동의 다문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교사의 생활지도, 학교 내 다문화 학생 비율, 지역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논문 및 보고서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