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제에 대한 질적 연구: ``다문화 하나되어 프로그램``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링크: https://lrl.kr/VRNe
2. 초록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 교사와 학부모, 아동들 등 관련자들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무지개초``와 ``은하수초``에서 실시된 ``다문화 하나되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실질적으로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은 모계 국제결혼가정의 자녀들이 대다수였다.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또 다른 업무 부담"으로 지각하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교육청은 학교 선정에서부터 난항을 겪고 있었다. 또 다문화 관련 업무 담당자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가 깊다고 보기 어려웠으며 결과적으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개인적 인상"에 기초하여 급조되고 있었다. 원래 ``무지개초``와 ``은하수초``의 ``다문화 하나되어 프로그램``은 다문화 아동들에게 ``한국문화 체험``과 ``학업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그 주된 실시 배경이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한국문화 체험``을 위해 활용하고 동원될 수 있는 자원은 많지 않았으며 결과적으로 ``한국문화 체험`` 활동은 일반적 수준의 체험활동으로 대체되고 있었다. ``학업 지원`` 역시 수학에만 편중되고 있었으며, 한국말에 대한 지원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 아동들만을 대상으로 지극히 제한된 시간에 한정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학교교육과 교육과정에서의 주변화와 지엽화를 피하기 어려웠다. ``다문화 하나되어 프로그램``에 대한 다문화 아동들의 참여는, 다문화 프로그램의 취지에 대한 동의 여부와 실제 참여 정도에 따라 크게 4가지, 1) ``적극적 거부형``, 2) ``소극적 거부형``, 3) ``소극적 참여형``, 4) ``적극적 참여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참여한 아동들 중일부는 행동방식과 정체성에서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변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이전글북한 이탈 초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분석 25.07.07
- 다음글아동의 다문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 - 생태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25.07.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