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역사교육
일본인 다문화가정 자녀의 위치성과 역사인식에 관한 사례 연구
張로사(Jang, Rosa)
입력 2025-07-07 17:51
읽음 10
1. 링크: https://lrl.kr/cXJ9t
2. 초록
역사 수업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학교에서 배우는 ‘공식 역사’와 자신의 사회문화적 배경 사이의 충돌을 경험하면서 지적인 갈등을 넘어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겪는다. 특히, 일본인 아버지나 어머니를 둔 아동의 경우, 다문화적 배경과 한일 간의 역사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그 혼란이 더욱 심화된다. 따라서 학생들의 역사 인식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위치성(positionality)’, 즉 사회문화적 배경이나 상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일본계 다문화가정 아동 7명을 대상으로 선택형 설문조사, 사후 인터뷰,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회문화적 위치성이 역사 인식에 어떤 형태로 표현되는지를 살펴본 질적 연구이다. 주요 논의 내용은 “일본계 다문화가정 아동의 위치성이 역사 인식의 기반으로 작동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역사 인식의 특성은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가”, “그들의 역사 인식의 특징이 역사 학습에 어떤 함의를 가지는가”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학습자의 위치성에 대한 거리두기와 관용’은 다문화 환경에 있는 학생들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인정하며 존중하는 가운데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이전글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사회과 학습 실태에 관한 연구 25.07.07
- 다음글다문화 가정 내 사용 언어에 따른 언어 능력 종단분석: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25.07.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