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학부모연구
몽골 이주 배경 자녀의 가족기능인식과 학부모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자녀 학업효능감과 학부모역할인식의 이중매개효과
홍송이(강원대학교), 뭉흐체첵(강원대학교), 임성택(강원대학교)
입력 2025-07-07 18:40
읽음 6
1. 링크: https://lrl.kr/chMJN
2. 초록
본 연구는 몽골 이주 배경 자녀의 가족기능에 대한 인식과 학부모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녀의 학업효능감과 학부모역할인식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몽골 이주 배경 학생 366명과 그들의 부모 중 1인 366명이었다. 구조모형의 가설 검증에 앞서 SRMR, RMSEA, GFI, AGFI, NFI, TLI, CFI 등의 지수를 참고로 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였고, 모형 수정과정을 통해 최종 모형을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의 가족기능인식은 자신의 학업효능감과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자녀의 학업효능감은 학부모역할인식과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이, 양육스트레스와는 유의미한 부적 관련성이 있었다. 학부모역할인식은 양육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이 나타났다. 자녀의 가족기능인식과 학부모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녀의 학업효능감은 개별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었고, 학업효능감과 학부모역할인식의 이중매개효과도 나타났다. 95% 신뢰수준에서 Bootstrapping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부모의 역할인식과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 변인(가족기능인식과 학업효능감) 연구가 지니는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학부모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다음글양성 및 포용에 관한 독일의 교육담론 고찰 25.07.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