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방향
1. 링크: https://lrl.kr/dDHAi
2.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관점에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현황을 알아보고 교실 수준에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법을 논의하는 것이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은 한글 책임 교육 정책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초 문식성 관련 성취기준과 수업 시수를 대폭 늘렸으나 성취기준은 도달점 기준으로 간결하게 진술되어 구체적 정보가 부족하다. 이에 비해 한국어 교육과정은 기초 문식성 수준이 세분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성취기준의 개수가 많고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또한 내용교과 학습을 위한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학습 도구로서 기초 문식성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으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육과정들을 최적의 형태로 융합하는 관점을 제안하였다.
운영의 원리는 첫째,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에게 필요한 수준의 기초 문식성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어 교육과정과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학습 도구로서의 한국어 능력을 충실히 길러주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평가를 융합적으로 일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원리를 고려하고 융합의 대상인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어 교육과정,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상호작용과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절차를 가시화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모형’을 제안하였다.
- 이전글색채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25.07.07
- 다음글청소년이여, 교육포부를 키워라? 이주배경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능력주의’ 가설과 ‘기회구조’ 가설 비교 25.07.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