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교육을 위한 문화 내용 연구 - 다문화예비학교와 다문화중점학교 교재 사례를 중심으로
1. 링크: https://lrl.kr/bBPce
2.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예비학교와 다문화중점학교에 초점을 두고 다문화 배경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재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이해교육 그리고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문화다양성 교육의 접근에 따라 교육의 방향과 내용이 달라진다. 이 때 다문화예비학교와 다문화중점학교는 각각 다문화 이해 교육과 문화다양성교육의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전제로 하여 이 연구에서는 교재 내 소재와 주제, 학습 활동을 검토하여 문화 교재로서의 특성과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다문화 예비학교와 다문화 중점학교의 교재를 분석한 결과 몇 가지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첫째 전자는 한국 문화 이해 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후자는 문화 다양성 교육에 보다 중점을 두고 한국의 문화뿐만 아니라 세계 다른 나라의 문화를 교육 내용과 활동으로 다루고 있었다. 둘째 교재 내 소재, 주제에 있어서 전자가 한국 문화를 대상으로 한국 문화 이해와 문화 적응에 목적을 두고 있는 반면, 후자는 문화 다양성 교육의 접근에서 한국뿐 아니라 세계 다른 나라의 문화를 주제로 다루면서 비교, 대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셋째 교재 내 학습 활동 측면에서는 전자가 한국 문화에 대한 지식 습득, 이해, 수용과 관련한 활동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 교육부가 제시하고 있는 다문화교육 중점학교의 교육내용 요소를 틀로 삼아 문화 간 이해 및 소통, 문화다양성에서 더 나아가 반편견 및 반차별, 공동체의식, 세계시민의식에 중점을 두어 학습내용과 활동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이전글학교 국어교육 복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문식성 교육을 중심으로 25.07.07
- 다음글초중고생의 차별과 혐오표현 실태: 서울학생의 이주배경에 따른 경험의 특성을 중심으로 25.07.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