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배경학생 연구센터 다문화평화연구소
전체게시판 최신게시물 15건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자료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다문화 이민정책 관련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논문 및 보고서

논문 다문화콘텐츠연구

교육 수혜자에서 초국적 청년 이주자로 -해외 유학생 연구 동향을 통해 본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연구의 과제와 추진 방향

김도혜(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입력 2025-06-27 15:08 읽음 135

1. 링크: https://lrl.kr/eZwFy


2. 초록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영어로 발간된 해외의 유학생 관련 연구를 살펴국내 유학생 이주 패턴과 인구학적 특성에 부합하는 연구 주제와 방향을도출하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학생 이동성과 학생 이주에 관한 연구를 분석한 논문들을 참고하여 주제별로 기존 연구를학생 이동의 원인, 유학생 경험, 유학의 결과에 관한 연구로 나누고 기존연구가 어떤 논쟁을 통해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오고 있는지 살핀다. 이를국내 유학생 연구 동향에 비춰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이주 특성에 맞게 앞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연구 과제를 제안한다. 학생 이주는 전통적으로 남반구에서 북반구로의 이주 패턴의 하나로 이해되어 왔고 사회경제 특권층의초국적 계급 재생산 활로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유학 목적지와 이주 패턴, 이주 동기가 다양해지고 있는 오늘날 학생 이주의 특징에 맞춰 최근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유학을 유발시키는 원인, 유학의 경험 및 그결과를 밝히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국으로의 유학 사례는 이러한 연구 경향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한국으로의 유학은 아시아 간(inter Asian) 이주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특권층의 엘리트 유학으로만 이해되기 어려운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한국이 중요 아시아 출신 유학생 유입국으로 부상하게 된 원인을 한국뿐 아니라 주요 유입국의 정치, 사회, 경제적 배경에 비춰분석하여 한국이 이들 학생 및 가계에 어떤 욕망의 대상이 되는지 살펴볼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아시아 간 학생이주가 전통적인 유학생 연구에비추어 어떤 형태와 특징을 가진 이주인지 밝힐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이 주로 중저소득 아시아 국가 출신 유학생이라는 점에 기반하여‘학생’으로서의 경험뿐 아니라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 부모 등 이들이 수행하는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중심으로 분석해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해외의 연구들이 유학생을 학생인 동시에 청년 이주자로 설정하고 이들의 변칙적인 초국적 이주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한국의 외국인유학생 연구에서도 이들이 한국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어떤 문화자본을 축적하며, 졸업 이후 어디서, 어떻게 자신들의 문화자본을 활용하고있는지 탐색해보는 연구를 진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논문 및 보고서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