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임교사의 다언어수업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과 다언어 인식에 미치는 영향
1. 링크: https://lrl.kr/VLV5
2. 초록
초국적 이주의 시대인 오늘날, 한국 사회와 교육 현장 역시 급속한 다문화 현상을 경험하면서 최근 다양한 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문화적 특징 중 하나인 언 어의 문제는 상대적으로 소홀이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주배경 학생들에게 한국어습득을 강조하는 단일언어주의적 접근이 지배적이며 다양한 언어에 대한 존중과 그 잠재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담임교사가 하는 다언어 수업이 학생들의 다문화 수 용성과 다언어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에 있다. 먼저, 연구자는 다언어 수업 교수안을 개발 하였다. 학급 내 다문화 가정 학생을 고려하여 다언어 수업에 포함된 언어는 중국어, 베트남어, 말레이 어, 이탈리아어를 포함한 네 개의 언어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다언어 교수안은 M초등학교 4학년을 대 상으로, A학급을 실험집단, B학급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여 12차시 수업으로 적용하여 진행되었다.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자료와 관찰 및 면담을 통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 석하였다. 연구 결과, 담임교사에 의해 수행된 다언어 수업은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과 다언어 인식 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의 결과는 언어교육 전문가가 아닌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다언어 수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과 다언어 인 식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 올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다언어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료와 4개 언어로 이루어진 교수안은 향후 초등학교 현장에서 다양 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성과를 넘어 교수학습적 측면에서도 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다문화·다언어 시대에 언어 다양성 교육 연구로서 의미를 가지며 향후 중등학교 혹은 대안 학교 등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