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가정 어머니와 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 연구
1. 링크: https://lrl.kr/bBMUe
2.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다문화 가정 어머니와 자녀 간의실제 대화를 분석하여 일상생활 및 학교생활(학업 능력, 숙제, 학교 행사, 교우관계)에 관한 의사소통 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한국어 숙련도 각각 고급, 중급, 초급의 몽골, 태국, 베트남 결혼 이주 배경의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와 자녀이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을 둔 다문화 가정의 가족의 유형(Barnes & Olson, FACES III) 및 어머니-자녀의 의사소통 방식(Barnes & Olson, PACI),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 태도(Schaefer, A Circumplex model)에 대해 조사하고 어머니와 자녀간의 실제 대화 자료의 녹취, 전사를 통하여 위의 결과가 대화에 어떤 방식으로드러나는지 밝혔다. 또한 심층 면담을 통해 어머니와 자녀 간 의사소통에 대해서본인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자녀의 가정생활과 학교생활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다층적인 분석을 통해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 자녀 간 대화의 양상과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어머니와의 상호작용과 자녀의 학교생활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양상은 어머니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차이, 양육 태도, 가정분위기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와 자녀의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양육 철학임이 드러났다. 셋째, 설문 조사, 실제대화 분석, 어머니-자녀 면담, 교사 면담을 통해 어머니와의 상호 작용이 자녀의학교생활에 매우 높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를 통해 얻은 결론 외에 다문화 가정의 자녀와 아버지의 의사소통이 가정 내 의사소통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어 이것이 자녀의 학교생활과도 연관 관계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이전글중도입국(이민) 청소년 다문화교육 25.07.03
- 다음글다문화가정 중학생의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다문화정체성 인식의 매개효과 25.07.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