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평화학연구
갈등해소와 사회통합을 위한 이주배경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다문화수용성,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설진배(연세대학교 공공문제연구소)
입력 2025-07-03 14:15
읽음 33
1. 링크: https://lrl.kr/bBM3U
2.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KELS 2013」 1-4차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주배경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다문화수용성, 학교적응의 관계에 관한 집단분석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들 변인들의 동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집단 분석을 위해 추출한 322명 표본학생의 종단데이터를 활용한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과 잠재성장모형에 대한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는 두 집단 모두에서 다문화수용성과 학교적응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주배경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초기치가 일반 청소년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수용성은 비선형으로 변화하였으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섯째, 학교적응은 부(-)적 선형 변화하였으며, 이주배경 청소년의 초기치가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통합적 관점에서 교육 및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 이전글대학생 인성함양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S대학교 인성캠프를 중심으로 25.07.03
- 다음글중도입국(이민) 청소년 다문화교육 25.07.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