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배경학생 연구센터 다문화평화연구소
전체게시판 최신게시물 15건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자료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다문화 이민정책 관련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논문 및 보고서

논문 다문화교육연구

다문화교육을 받은 중학생은 더 포용적일까?: 서울시학생의 문화 포용성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박희진(계명대학교), 이규빈(서울대학교) 입력 2025-07-03 11:32 읽음 25

1. 링크: https://lrl.kr/bBMTy


2. 초록

이 연구는 서울시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전반적 문화 포용성 수준을 조사하고 이를 심층 분석하여 다문화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서울시 중학생의 문화 포용성의 실태를 하위 집단의 특징에 따라 구분하여 파악했으며, 다문화교육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자료는 「서울학생 차별·혐오 및 문화적 포용성 실태조사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했으며, 조사대상자는 중등학교 1학년에서부터 3학년까지 재학생 중 5,858명이다. 연구방법은 교차분석 및 위계적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개인 배경과 학교 배경이 문화 포용성과 어떻게 관련되며 다문화교육의 효과는 어떠한지 검증해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다른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개인 수준에서는 문화 포용성을 보여주는 네 가지 종속변수 모두에서 일관되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포용성 점수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위 외국인이 있는 경우가 문화 포용성에 정적으로 상관이 있음이 모든 종속변수에서 동일하게 분석되었다. 학교 수준에서는 우선, 정책학교로 선정된 학교가 비선정학교에 비해 네 가지 문화 포용성 중 관계성 점수에서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끝으로, 다문화교육 경험 유무는 모든 종속변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대부분 종속변수에서 높은 실질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문화 포용성 증진을 위한 학교 내 다문화교육의 효과와 필요성을 재확인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논문 및 보고서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