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배경학생 연구센터 다문화평화연구소
전체게시판 최신게시물 15건
회원가입 로그인 검색창 열기
자료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다문화 이민정책 관련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논문 및 보고서

논문 교육문화연구

교원의 이주민에 대한 수용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주배경 학생 밀집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희진(계명대학교), 남궁지영(한국교육개발원) 입력 2025-07-03 11:34 읽음 45

1. 링크: https://lrl.kr/chKmb


2.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원의 사회적 거리감 수준을 통해 이주민에 대한 포용성 수준 및 편견 정도를 확인하고, 다문화교육관련 교직경력과 경험을 조사하여 두 가지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를 위해 이주배경 주민의 비율이10%이상인 지역에 위치한 학교 중 이주배경 학생의 비율과 수가 많은 10개교의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에 대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교원의 사회적 거리감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대체로 교원들은 스스로가 이주배경 학생 지도나 다문화교육을위해 제대로 준비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여 관련한 효능감과 만족도가 낮았다. 학교 다문화교육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기어려울 수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교원들은 스스로 이주배경 주민에 대해 다소 포용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이주배경 주민에 대한 거리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경력과 경험으로 인해학교에서 베테랑 교사로 인정받는 교원이라 할지라도 사회와 학교구성원의 변화에 따라 오히려 저경력교사보다더 많은 연수와 연구, 역량계발을 위한 노력을 해야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주배경 학생 밀집학교 근무경험, 이주배경 학생 지도기간, 다문화교육 교원연수 경험 등은 교원의 이주배경 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수준과 유의미한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교원의 사회문화적 수용성이나 다문화교육 역량은 단순히 이주배경 학생이 많은 학교에 근무한다고 해서 제고되지 않는 것이다. 이주배경 학생 밀집지역에서 고군분투하며 앞서 미래를 경험하고 있는 교원을 위시하여다가올 미래에 동일한 난관을 봉착하게 될 전체 교원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연수와 지원방안 마련이필요할 때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논문 및 보고서 게시판 목록입니다.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