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현대사회와 다문화
이주배경 학생의 증가에 따른 교사 다양화 방안 탐색: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김형기(부경대학교), 이은채(부경대학교)
입력 2025-06-27 15:30
읽음 103
1. 링크: https://lrl.kr/bBJoL
2. 초록
한국은 5% 이상의 이주배경 인구와 함께 사는 다문화사회로 곧 진입한다. 다문화 출생아의 증가로 다문화학생 증가도 예상된다. 미국과 EU는 교육형평성 제고를 위해 교사 다양화를 추진하나 한국은 아직 이주배경 교사의 필요성에 관심이 부족하다. 이주배경 학생의 실질적 교육기회 보장과 인구감소시대의 주요인재 성장을 위해 한국에서도 교사의 다양화 필요성을 살펴볼 시기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인구통계, 정책자료, 교사 다양화 연구 등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같은 민족·인종 교사에 의한 교육활동은 학업성취, 동기부여, 사회통합 태도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미국은 지난 30여 년 백인 이외 인종인 학생을 대학에 진학시키고, 교사양성과정 등록을 지원하며, 교사자격 취득 후 교직 입직 지원 등 교원양성 전 단계에 걸친 교사 다양화 정책을 추진하여 백인 이외의 교사가 약 7% 포인트 증가하였다. 미국 사례를 토대로 한국에서 이주배경을 지닌 사람의 한국 공교육 교사로의 입직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교원양성기관 입학과 임용시험제도 운영 개선 등 이주배경을 지닌 사람의 교직 입직을 위한 단·장기 과제를 제시하고, 교직 입직 이후에 필요한 지원책을 제언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